맨위로가기

두벌식 자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벌식 자판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자판 배열 방식 중 하나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표준으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표준 자판은 1982년 제정된 KS X 5002로, 자음은 왼손, 모음은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방식이다. 쿼티 자판과 유사한 배열을 가지며, 한글 입력에 필요한 글쇠 수가 적어 배우기 쉽지만, 왼손의 피로도가 높고 도깨비불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두벌식 자판을 사용하며, SIL 인터내셔널에서는 한글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로마자 QWERTY 자판에 맞춰 재배치한 발음 자판을 개발했다. 또한, 두벌식 옛글 자판은 현대 자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옛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자판 - 휴대 전화 문자 입력 방식
    휴대 전화 문자 입력 방식은 언어별 특성과 기술 발전에 따라 발전해 왔으며, 한국어는 숫자 키패드를 활용한 다양한 방식, 영어는 12키와 QWERTY 키패드 방식이 사용되고, 최근에는 터치스크린과 음성 입력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 한글 자판 - 세벌식 자판의 종류
    세벌식 자판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공병우 자판을 시작으로 IBM PC 호환 기종 및 매킨토시 환경에 맞춰 개발된 자판, 사용자 편의성과 두벌식 호환성을 높인 자판, 모아치기 방식 자판, 속기사용 자판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두벌식 자판
개요
이름2벌식
한글두벌식
한자두벌式
히라가나にボルしき
가타카나투보루시키
로마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Dubeolsik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식)Tupŏlsik
영어2-set

2. KS X 5002 자판: 대한민국 표준

1982년에 제정된 KS X 5002 “정보처리용 건반 배열”은 남한의 표준 두벌식 자판이자, 사실상 국제적인 한글 입력 표준이다.[2] 과거 기계식 한글 타자기는 세벌식을 사용했으나, 1980년대 컴퓨터 보급과 함께 두벌식이 고안되어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두벌식을 사용하지만, 자판 배열은 대한민국과 다르다.[1]

2. 1. 특징

남한의 표준 두벌식 자판은 1982년에 제정된 KS X 5002 “정보처리용 건반 배열”로 국가 표준이다.[2] 왼손에는 자음, 오른손에는 모음을 배치하여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 순서대로 한글 한 글자를 입력한다. 쌍자음 5자(ㄲ, ㄸ, ㅃ, ㅆ, ㅉ)와 모음 2개(ㅒ, ㅖ)는 키와 글쇠를 함께 눌러서 입력할 수 있다. 겹받침 및 이중모음은 보이는 대로 두 글쇠를 연속해서 눌러 입력한다.

이 자판은 숫자와 기호의 배치가 영문(미국) 쿼티 자판과 같고, 역슬래시(\\uk) 대신 ₩한국어 표를 할당하여 한글 입력에 필요한 글쇠의 수가 적어 배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국가 표준이므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컴퓨터 장비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식 타자기와 같은 배열의 사용은 불가능하고, '''도깨비불 현상(종성우선현상)'''이 일어나며, 양손의 부담률이 불균형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모음 중 는 왼쪽에 있어, 좌자음 우모음의 원칙에서 약간 벗어나 있다. 역슬래시(\\uk)가 없는 것도 미국 표준 쿼티 자판과 정확히 호환되지 않는다. 정보처리 관점에서 초, 중, 종성에 관한 일관성 있는 식별과 처리가 어려우며, 입력된 정보를 한글 음절로 구현하기 위해 모아쓰기 오토마타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자판의 가장 큰 단점은 사용할 때 왼손의 피로도가 오른손보다 더 많은 현상이다. 두벌식은 받침을 쳐야 하는 한글 특징으로 자음을 치는 왼손이 모음을 치는 오른손보다 더 많이 피로하다.

한글 자모는 모음과 자음을 합쳐도 24개밖에 되지 않으며, 두벌식에서는 알파벳 키 위치에 모든 자모가 할당되어 있다. 남은 두 개의 키에는 "ㅐ"와 "ㅔ"의 합성 모음()이 할당된다. 원칙적으로 왼손으로 자음, 오른손으로 모음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지만, "ㅠ한국어"처럼 왼손 쪽에 위치한 모음도 있다. 2타부터 5타로 한글 한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2. 2. 단점

두벌식 자판의 가장 큰 단점은 사용할 때 왼손의 피로도가 오른손보다 더 높은 현상이다. 이 단점은 글쇠를 눌러 글자판 전체를 들어 올리던 기계식 타자기에서 넘어온 문제이다. 피로도의 차이는 자음과 모음 키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한 방식 탓으로, 이는 장점이면서 동시에 단점이기도 하다. 두벌식은 받침을 쳐야 하는 한글 특징상 자음을 치는 왼손이 모음을 치는 오른손보다 더 피로하다. 이 배열은 기계식 네벌식 자판에서 두벌식으로 개선하면서 나타난 필연적인 배열이다.[2]

기계식 타자기에서 두벌식으로 개선하면서 왼손으로 받침(종성)을 칠 때 오른손으로는 시프트(Shift) 글쇠를 눌러줘야 했다. 왼손은 가벼운 받침 글쇠를 치고, 오른손으로는 글자판 전체를 들어 올리는 시프트(Shift)를 눌러야 했다. 대부분 오른손잡이이므로 기계식에서는 적합한 방식이었다. 하지만 컴퓨터 자판에서는 받침을 치기 위해 오른손으로 힘을 주어 전체 글자판을 들어 올리는 시프트(Shift) 글쇠를 누를 필요가 없어졌다. 설계부터 오른손의 무게 부담을 고려해서 만든 두벌식 배열이었으므로 개선하지 않은 채 컴퓨터 자판의 표준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현재는 오른손보다 왼손에 더 많은 부담을 주는 자판 배열이 되었다.[2]

도깨비불 현상(종성우선현상)이 일어나는 단점도 있다.[2] 모음 중 자 1개는 왼쪽에 와 있어, '왼손 자음, 오른손 모음'의 원칙에 약간 벗어나 있다.[2] 정보처리 관점에서 초성, 중성, 종성에 관한 일관성 있는 식별과 처리가 어려우며, 입력된 정보를 한글 음절로 구현하기 위해 모아쓰기 오토마타가 반드시 필요하다.[2]

3. 국규 9256 자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표준

북한의 표준 자판은 두벌식으로, 대한민국의 표준 자판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국규 9256(KPS 9256)으로 규정되어 있다. 1991년 26키에 치환방식(예: ㄱ+ㅏㅏ=까, ㄱ+ㅓㅓ=꺼)을 국제표준 시안으로 제출했으나 어문생활과의 정합성 결여로 사용될 수 없었고, 1993년 표준으로 결정되었다. 한국과 자음, 모음 영역은 같으나 배열은 다르다. 모음 중 'ㅠ' 하나만 왼쪽에 있는 것도 남한의 표준 자판과 같다. 입력 방식도 같다.[1]

3. 1. 남한 표준과의 비교

북한의 표준 자판은 두벌식으로서, 남한 표준 자판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북한의 국규 9256에 규정되어 있다. 이 표준은 국제적으로 KPS 9256이라고 부른다. 남한과 자음, 모음 영역은 같으나 배열은 다르다. 모음 중 'ㅠ'가 왼쪽에 있는 점은 남한 표준 자판과 같다.

4. 두벌식 옛글 자판

두벌식 옛글 자판은 현대 두벌식 자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옛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우분투 20LTS 두벌식 옛글 (ibus입력기)


5. SIL 인터내셔널 발음 자판

SIL 인터내셔널에서는 한글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로마자 QWERTY에 맞춰 재배치한 자판 배열을 개발하기도 하였다.[3] 한글은 로마자보다 모음자의 종류가 많기에, 한국어에 없는 자음을 나타내는 로마자를 모음으로 전용한 것이 특징이다.

SIL 인터내셔널 발음 자판

참조

[1] 서적 콤퓨터 (중학교 제 1 학년용) 3 판 https://archive.org/[...] 교육도서출판사 2011
[2] 간행물 KS X 5002:2007, 정보 처리용 건반 배열
[3] 웹인용 Korean Phonetic Keyboard Help https://help.keyman.[...] 2024-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